카테고리 없음
부산시, 취약계층에게 ‘집밥’ 대신 ‘집바꿈’ 선물! 환경성질환 예방사업 진행
정창보고
2023. 8. 21. 22:33
반응형
부산시가 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을 추진하는 배경과 목적
부산시는 오는 12월까지 취약계층 약 50가구를 대상으로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취약계층 거주지의 아토피, 천식, 비염 등 환경성질환을 유발하는 미세먼지, 곰팡이,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집먼지진드기 6개 항목을 측정·진단하고 실내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주민참여예산 1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으로, 독거노인 가구, 저소득 가구, 결손가구 등을 주 대상으로 사업을 실시하며 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환경부의 '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과 연계해 추진한다. 부산시는 지난 3월 구·군으로부터 취약계층 118가구를 추천받아 환경부에 이들 가구의 실내환경 진단·컨설팅 지원을 요청했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취약계층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실내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높이고, 실내환경 관리에 대한 교육과 지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부산시가 취약계층에게 제공하는 실내환경 개선 서비스의 내용과 방법
부산시가 취약계층에게 제공하는 실내환경 개선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실내환경 유해물질 안전진단 및 컨설팅 : 부산시는 환경부와 협력하여 취약계층 가구의 실내환경 유해물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유해물질은 미세먼지, 곰팡이,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집먼지진드기 등 6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 실내환경 개선 시설 지원 : 부산시는 실내환경 유해물질 안전진단 및 컨설팅 결과에 따라 개선이 필요한 취약계층 가구에게 실내환경 개선 시설을 지원한다. 실내환경 개선 시설은 벽지, 장판, 창호,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제습기 등으로 구성된다.
- 실내환경 개선 교육 및 홍보 : 부산시는 취약계층 가구에게 실내환경 개선 교육을 실시하고, 실내환경 관리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높이기 위해 홍보물을 제작·배포한다. 실내환경 개선 교육은 실내환경 유해물질의 원인과 피해, 실내환경 개선 방법과 예방법 등을 다룬다. 홍보물은 실내환경 개선 사업의 내용과 목적, 실내환경 관리 팁 등을 담은 전단지, 포스터, 브로슈어 등으로 구성된다.
부산시가 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의 효과와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할 계획
부산시는 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의 효과와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 사전·사후 비교분석 : 부산시는 사업 참여 가구의 실내환경 유해물질 측정 결과를 사전과 사후로 비교하여 사업의 효과를 분석한다. 또한, 사업 참여 가구의 건강상태와 삶의 질 변화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다.
- 사례연구 및 베스트 프랙티스 공유 : 부산시는 사업의 성공적인 사례를 연구하고 문서화하여 다른 지자체와 공유한다. 또한, 사업의 우수한 예시를 선정하여 베스트 프랙티스로 확산하고 보급한다.
- 사업의 지속성 및 확대성 확보 : 부산시는 사업의 지속성과 확대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자원을 동원한다. 예를 들어, 사회복지기관, 민간단체, 자원봉사자 등과 협력하여 사업의 운영과 관리를 지원하고, 기업·단체·개인 등으로부터 재정적·물질적 기부를 받아 사업의 규모와 범위를 넓힌다.
부산시가 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과 절차
부산시가 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과 절차를 따라야 한다.
- 참여대상 : 부산시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가구, 저소득 가구, 결손가구 등 취약계층 가구로, 실내환경 개선이 필요한 가구이다.
- 참여방법 : 부산시 홈페이지나 구·군청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하거나 구·군청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한다. 신청서에는 신청인의 개인정보, 거주지 정보, 건강상태 정보, 실내환경 개선 요청사항 등이 포함된다.
- 참여절차 : 부산시는 신청서를 접수하고 심사하여 참여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참여가능한 가구에게는 사업의 내용과 일정을 안내하고, 실내환경 유해물질 안전진단 및 컨설팅을 진행한다. 안전진단 및 컨설팅 결과에 따라 실내환경 개선 시설을 지원하고, 사업의 효과와 성과를 평가한다.
반응형